주간보호센터 수익만 이야기해주는 컨설팅의 뒷면에는 현실이 존재합니다. 제가 작성한 글을 읽다 보면 현실을 알게 되고 그에 맞게 준비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현실을 보여주고 해결책을 고민하고 나가는 게 제가 글을 쓴 이유입니다.
먼저 전 글에 대한 복습 먼저 보여드리고 추가 내용을 말씀드려야 정리가 빠르겠죠? 전 글에는 매출과 직접인건비, 간접인건비, 임대료, 관리비를 산정하여 매출을 알아보았습니다.
위 금액만 들어간다면 설립에 대한 부분은 긍정 적이라고 생각하시죠? 말씀드렸듯이 기본 비용입니다. 건물에 대한 부분만 산정한 비용 그렇다면 운영에는 어떤 비용이 필요한가? 너무 변수가 많죠. 그걸 모두 보여주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준을 정하여 보여주는 것이 좋겠죠?
운영 필수 비용
구분 | 30인 | 35인 | 40인 | 50인 | 60인 |
배상책임보험 | 2,000,000 | 2,500,000 | 3,000,000 | 3,700,000 | 4,000,000 |
폐기물처리 | 30,000 | 30,000 | 30,000 | 30,000 | 30,000 |
차량 리스비 | 1,000,000 | 1,500,000 | 2,000,000 | 3,000,000 | 4,000,000 |
주유비 | 200,000 | 270,000 | 300,000 | 350,000 | 400,000 |
시스템사용 | 55,000 | 66,000 | 66,000 | 77,000 | 88,000 |
프로그램사업비 (재료비) |
300,000 | 350,000 | 400,000 | 500,000 | 600,000 |
기타(시설 보수 등) | 500,000 | 500,000 | 1,000,000 | 1,000,000 | 1,000,000 |
합 | 4,085,000 | 5,216,000 | 6,796,000 | 8,657,000 | 10,118,000 |
위 표를 보면 차량 리스비는 몇 대가 측정되어 있는 걸까 그리고 시스템 사용은 뭘까 시설 보수는 매달 저렇게 비용이 들어가는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차량 리스비는 송영 즉 어르신을 통학시키는 차량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그 기준은 인원에 따른 스타렉스 1대당 50만 원을 임의 측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업비(재료비)는 어르신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재료라고 생각하면 되고 시설 보수는 1년 동안 비용을 대략적으로 계산하여 월로 나눈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배상책임보험은 필수인 보험이며 대략적인 비용을 산정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그럼 여기서 운영 필수 비용까지 뺀 이윤은 어떻게 될까?
최종 이윤
구분 | 30인 | 35인 | 40인 | 50인 | 60인 | |
4등급 |
①매출 | 6,691,116 | 9,214,636 | 11,238,155 | 16,285,194 | 21,332,233 |
②운영필수비용 | 4,085,000 | 5,216,000 | 6,796,000 | 8,657,000 | 10,118,000 | |
최종 이윤(①-②) | 2,606,116 | 3,998,636 | 4,442,155 | 7,628,194 | 11,214,233 | |
5등급 |
①매출 | 6,174,320 | 8,611,707 | 10,549,094 | 15,423,867 | 20,298,640 |
②운영필수비용 | 4,085,000 | 5,216,000 | 6,796,000 | 8,657,000 | 10,118,000 | |
최종 이윤(①-②) | 2,089,320 | 3,395,707 | 3,753,094 | 6,766,867 | 10,180,640 |
위 ①매출은 전 글에서 이어지는 자료이니 ①매출에 대한 부분은 제가 전에 쓴 매출에 대한 글은 처음부터 확인하시면 이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보여드린 자료는 말 그대로 최소 인원으로 필수 비용만 빠지 금액이다. 현실적인 인건비를 생각하고 운영을 생각하며 위 최종 이윤에서 대략 200만원에서 400만 원 정도를 제외하면 된다. 단 운영에 따라 그 비용은 줄일 수 있는 비용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저에 자료를 보는 분 중에 기관을 운영하시는 분이 있을 수도 있고 기관 설립을 계획하면 보시는 분도 있을꺼라 생각한다. 그런다면 위에 보인 자료는 탁상공론이라는 생각을 먼저 하실 거고 그리고 30인까지 가는 게 쉬운 게 아닐 텐데 라는 생각을 하실 분이 계실 거고 그나마 조금 열린 마음으로 보는 분이 계신다면 그래도 나름 현실을 반영한 진짜 돈을 보여주는 구나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설립 후 폐업하신 경험이 있는 분은 더더욱 처음에 이렇게 보여주는 사람이 있었다면 그리고 해결점을 같이 고민할 분이 있었다면 이라는 후회도 할 거라 생각한다.
그런데 설립을 계획하신 분과, 설립을 하였으나 지금 운영이 어려우신 분을 위해 글을 작성하기로 마음먹은 만큼 처음 고민하시는 분에게 비용을 보여 주었으며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 비용은 탁상공론일 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고 주변에서 설립에 대한 도움을 주시는 분이나 컨설팅을 하는 분이 위와 같은 자료를 보여주며 대화를 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경험이 있는 분은 거의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어떤 계획이든 그저 부푼 풍선만, 단 사탕만 보여주는 것보다 그래도 현실은 보여 주셨으면 합니다. 혹 비용을 받고 하신다면 그 비용에 값은 하셨으면 합니다. 사업계획서, 예산서 작성만 해주시지 마시고 진짜 잘되는 방법을 같이 고민했으면 합니다.
그럼 여기서 제가 생각하는 중요한 이야기는 지금부터 입니다. 위에 인원 가장 적은 30인을 달성하기까지 어떠한 노력을 하셨나요? 아니면 직원에게 맡기고 그저 바라보고만 계신 분은 없으셨나요? 고민만 하고 자리만 지키고 계셨던 분은 안 계셨나요? 노력하셔야 합니다. 아니 고민만 하지 말고 실천해야 합니다. 모두가 코로나 시대로 어떻게 홍보를 하지 방법만 찾고 어쩔 수 없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되는 곳을 수급자가 늘고 있습니다. 왜 늘어나지? 어떻게 늘리지? 어떻게 홍보하지? 고민만 하지 마세요. 제발 내 통장 잔액은 늘지 않고 줄어가는데 방치하지 말아 주세요.
이제 시작입니다. 시작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인테리어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홍보는 언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너무 작은 경험이지만 모든 경험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노인장기요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보호센터 홍보는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0) | 2022.01.24 |
---|---|
주간보호센터는 정말 성공하는 사업인가? (0) | 2022.01.20 |
주간보호센터 수익과 매출 거짓을 보고 시작하지 마세요(현실조언) (0) | 2022.01.17 |
주간보호센터 정원 몇 명을 해야 수익과 매출이 발생 할까(현실고민) (0) | 2022.01.14 |
주간보호센터 이해하기 (0) | 2022.01.13 |
댓글